|
|||
작성자: 씨스켐닷컴(주) 작성일: 2001-08-18 조회수: 6725 |
|||
"2002년판 한국정밀화학총람이 발간되었습니다." 씨스켐닷컴(주)에서 발간한 이번 "2002년판 한국정밀화학총람"은 지난 98년 발행에 이은 업버전 판으로써 장기간 심혈을 기울인 정밀화학산업 시장 총류입니다. 정가 : 30만원(발송료 본사 부담) 총 분량 : 1560페이지 문의처 : 씨스켐닷컴(주) 전화 : 02-322-0144 팩스 : 02-322-0147 e-mail : cischem@cischem.com 홈페이지 : www.cischem.com 아래는 "2002년판 한국정밀화학총람 목차"입니다. 제1부. 정밀화학 중간체 계통도 2 제2부. 정밀화학 산업별 현황 제1장. 국내 및 세계 정밀화학산업 1. 개요 및 범위 77 2. 특징 79 2-1. 기술집약산업 80 2-2. 에너지 및 자원절약형 산업 81 2-3. 기술의 독점, 독자성 81 2-4. 타산업에 대한 기술파급효과 81 3. 정밀화학산업의 주요 제품 3-1. 의약 81 3-2. 농약 81 3-3. 염·안료 81 3-4. 화장품 82 3-5. 계면활성제 82 3-6. 촉매 82 3-7. 사진용화합물 82 3-8. 첨가제 82 4. 제품 개발과정 및 주요 기술 4-1. 제품별 개발과정 및 주요핵심 기술 83 (1) 생리활성물질 83 (2) 기능성 물질 84 4-2. 생산기술 85 5. 정밀화학산업의 위치 5-1. 산업상 비중 86 5-2. 생산지수 비교 86 5-3. 1인당 생산액 및 부가가치 86 6. 수급현황 6-1. 국내 시장규모 86 6-2. 생산현황 86 6-3. 업종별 생산 점유율 88 6-4. 업종별 생산지수 88 6-5. 업종별 1인당 생산액 88 6-6. 업종별 부가가치율 89 6-7. 화학산업과의 생산비 비교 89 7. 수출·입 현황 7-1. 수출·입 현황 89 7-2. 국별 수출·입 현황 90 7-3. 무역수지 현황 90 7-4. 수출·입 비중 90 7-5. 업종별 수입에 대한 수출비중 90 7-6. 업종별 수출·입 의존율 비교 91 8. 물질특허출원 및 기술 수출·입 8-1. 물질특허출원 현황 92 8-2. 기술수출 및 도입 현황 92 9. 업체현황 9-1. 업종별 생산업체 현황 93 9-2. 기업 규모별 현황 93 10. 외국인 투자현황 93 11. 고용현황 11-1. 업종별 고용현황 94 11-2. 종업원 1인당 연간급여액 수준 95 12. 국내 정밀화학산업 95 12-1. 경쟁력 평가 96 12-2. 시장전망 98 13. 육성방안 99 13-1. 향후 방향 103 13-2. 추진과제 및 대책 105 14. 세계 정밀화학산업 14-1. 시장현황 106 14-2. 주요 국가의 정책·지식집약화 사례 108 14-3. 정밀화학산업 전망 110 제2장. 의약품산업 1. 의약품산업의 개요 1-1. 국내 의약품시장의 구조적 특성 132 1-2. 환경 및 시장구조의 변화 133 1-3. 시장개방 가속화 134 1-4. 외자·기술도입 활발 135 1-5. 외자기업 생산활동 변화 135 1-6. 제약산업의 규모와 구성 135 2. 제약산업의 발전과정 137 3. 의약품의 분류 3-1. 제재에 따른 분류 138 3-2. 투여 방법에 의한 분류 138 3-3. 효능별 분류 138 3-4. 생리작용에 의한 분류 138 3-5. 원료생산 방법에 따른 분류 138 3-6. 기타 분류 138 4. 제약산업의 특성 4-1. 의약품의 특성 (1) 생명 관련성 138 (2) 품질상의 특수성 139 (3) 유통 구조상의 특수성 139 (4) 광고상의 특수성 139 (5) 판매·취급의 제약성 139 4-2. 산업의 특성 (1) 기술 집약적 산업 140 (2) 에너지 및 자원절약적 산업 140 (3) 고부가가치산업 140 (4) 시장의 세분화산업 140 (5) 국민보건 산업 140 5. 의약품 생산기술 5-1. 제조공정 (1) 원료의약품 생산공정 141 (2) 완제의약품 제형별 생산공정 141 5-2. KGMP 141 5-3. 기술개발 현황 141 5-4. 시설능력 142 6. 국내 신약개발 동향 142 7. 국내 제약시장현황 147 8. 2000년 제약산업 동향 159 9. 제약산업 환경변화 9-1. 의약분업이 제약사에 미치는 영향 161 9-2. 제약산업의 연구개발 환경 163 9-3. 연구개발의 문제점 166 9-4. 기타 제약환경 변화 171 9-5. 연구개발 전망 172 10. 의약품 유통의 변화 173 11. 2001년 제약산업 동향 11-1. 2001년 제약산업의 주요 특징 175 11-2. 제약산업 경기 전망 176 11-3. 2001년 1/4분기 제약산업 시장현황 180 12. 상위 제약사의 매출 및 수익전망 181 13. 제약사 업체 현황 13-1. 유한양행 182 13-2. 동아제약 183 13-3. 대웅제약 183 13-4. 동화약품 184 14. 세계 제약산업 동향 184 14-1. 세계 신약개발 동향 185 14-2. 지식집약화 사례 187 15. 의약품 DDS 동향 190 16. 바이오 의약품 시장 전망 194 제3장. 농약산업 1. 농약산업의 개요 1-1. 정의와 범위 199 1-2. 발달과정 199 1-3. 농약산업의 특성 201 1-4. 중요성 201 1-5. 신농약 개발의 필요성 (1) 사회적 측면 203 (2) 경제·산업적 측면 203 (3) 기술적 측면 204 2. 농약산업의 현황 2-1. 농약 안전성 대폭 강화 205 2-2. 생물농약 개발 활성화 시급 206 3. 농약개발 및 안전성 207 4. 농약시장현황 및 전망 209 4-1. 농약시장현황 213 4-2. 경쟁구조 (1) 과점적인 시장구조 219 (2) 외국기업의 국내 농약업체 인수 활발 219 (3) 자체기술보다는 복제품에 의존, 원제의 수입 의존도가 높은 수준 219 (4) 이원화된 유통구조 219 4-3. 농약산업 환경변화와 대응전략 220 4-4. 농약산업 사업경쟁력 평가요소 (1) 시장지위 226 (2) 연구 개발력 및 원제 조달력 226 (3) 유통구조 및 매출채권 관리 227 5. 세계 농약시장 동향 5-1. 농약시장 동향 229 5-2. 농약사용 비율, 제초제 최고 233 5-3. 농약업계 M&A 및 경영전략 235 5-4. 세계 GM작물 현황 241 6. 생물농약 시장현황 243 6-1. 국내 생물농약 개발현황 245 6-2. 일본의 생화학농약 현황과 개발 전망 250 6-3. 미생물 농약의 등록규정 및 절차 252 6-4. 미생물 살균제 개발의 기술적 요인 253 7. OECD 농약관리 정책과 대응 방안 255 7-1. OECD의 농약분야 활동상황 256 7-2. 농업환경 정책분야 257 7-3. 농약정책과 논의 동향 257 7-4. OECD의 농약관리 정책 전망 257 제4장. 염·안료 및 중간체산업 1. 염·안료의 정의 258 2. 염·안료의 발전과정 2-1. 염료 259 2-2. 염료의 역사 259 2-3. 안료 259 3. 안료의 색 3-1. 무기화합물의 색 260 3-2. 유기화합물의 색 262 4. 염료의 분류와 용도 4-1. 직접염료 262 (1) 벤지딘(Benzidine)계 아조염료 263 (2) Diaryl 요소 유도체의 아조염료 263 (3) Cyanur환을 함유한 아조염료 263 (4) 스틸벤(Stilbene)아조염료 263 (5) 티아졸(Thiazole)아조염료 263 4-2. 산성염료 264 (1) 산성염료 구조상 분류 ① 아조계 염료 265 ② Anthraquinone계 염료 265 (2) 산성염료의 염색성 ① 용해성 265 ② 염색성 266 ③ 산 및 중성염의 영향 266 ④ 산성욕내에서의 흡착과정 266 ⑤ Wet Fastness와 염착 Mechanism 266 ⑥ 이염성 266 ⑦ PH의 영향 266 ⑧ 염색조제 267 4-3. 매염염료 267 4-4. 산성매염염료 267 4-5. 염기성염료와 카치온염료 267 4-6. 황화염료 268 4-7. 황화건염염료 269 4-8. 건염염료 269 4-9. 가용성 건염염료 269 4-10. 아조익(Azoic)염료 269 4-11. 분산염료 270 4-12. 반응성염료 270 4-13. 산화염료 270 4-14. 유기 용제 용해염료 270 4-15. 형광 증백제(형광염료) 270 5. 안료의 분류와 용도 5-1. 화학구조상 안료 분류 (1) 백색안료 271 (2) 흑색안료 272 (3) 청색안료 272 (4) 적색안료 272 (5) 황색안료 273 (6) 녹색안료 273 (7) 갈색안료 274 (8) 토우너 및 레이크 274 (9) 기타 안료 274 5-2. 아조안료 (1) 불용성 아조안료 274 (2) 아조레이크 안료 274 (3) 축합 아조안료 274 (4) 금속염 아조안료 275 5-3. Phthalocyanine계 안료 (1) Copper Phthalocyanine안료 275 (2) 할로겐화 Copper Phthalocyanine안료 275 (3) 무금속 Phthalocyanine안료 275 (4) Copper Phthalocyanine레이크안료 275 5-4. 염료 레이크안료 (1) 산성염료 레이크안료 275 (2) 염기성염료 레이크안료 275 5-5. 축합다환안료 276 5-6. 기타 유기안료 (1) Nitroso안료 276 (2) Alizarine 레이크안료 278 (3) 금속착염 Azo Methine안료 278 (4) Aniline Black안료 278 (5) Alkali Blue안료 278 (6) 화광형광안료 278 6. 염·안료 중간체 개요 278 7. 염·안료산업의 특징 및 제조공정 7-1. 특징 279 7-2. 제조공정 280 8. 국내 염·안료의 개발동향 8-1. 염료의 개발동향 281 8-2. 안료의 개발동향 281 9. 염·안료 및 중간체의 기술개발 동향 281 9-1. 염·안료 기술개발 동향 282 9-2. 염·안료개발의 문제점 283 10. 시장의 변화와 문제점 및 발전방향 10-1. 문제점 및 대책방안 285 10-2. 시장경쟁 구조변화 286 10-3. 발전 전망 287 10-4. 발전과제 및 전략 289 11. 염·안료산업의 시황 11-1. 염료시황 291 11-2. 안료시황 299 11-3. 염·안료 중간체 시장 307 11-4. 방향족 화합물 중간체 산업 현황 320 12. 염·안료 중간체 업체 현황 322 12-1. 경인양행 323 12-2. 대광화학공업 324 12-3. LG화학 325 12-4. 오영산업 327 12-5. 이화산업 329 12-6. 정우화인 330 12-7. 대동상사 331 12-8. 대영화학 331 12-9. 동남합성공업 332 12-10. 삼영유화 332 12-11. 세기유화 333 12-12. 풍림유화공업 334 12-13. 한국정밀화학 334 12-14. 이스트웰 334 13. 세계 염료시장현황 및 전망 13-1. 염료시장 동향 335 13-2. 인디아 338 13-3. 방글라데시 338 13-4. 중국 340 13-5. EU 342 13-6. 러시아 343 13-7. 염료업계 M&A 343 13-8. 염료업계 동향 (1) 미쓰이BASF염료 344 (2) 주화켐텍스(주) 345 (3) 다이스타 345 (4) 日東紡 347 (5) 紀知화학공업(주) 347 (6) 시바스페셜티케미칼스(주) 347 (7) 일본화약 348 14. 세계 유기안료 시장현황 및 전망 348 15. 세계 안료업계 동향 15-1. Kemira 349 15-2. 시바스페셜티케미칼즈 350 15-3. 키크티컬러 350 15-4. 일본메르크 350 제5장. 도료산업 1. 도료산업의 개요 1-1. 정의 351 1-2. 도료산업의 발달사 351 1-3. 도료의 구성 351 1-4. 도료 기능과 구성성분의 역할 352 1-5. 도료 기능과 수지의 역할 352 1-6. 도료산업의 기술 추이 352 2. 도료 종류 2-1. 락카(Lacquer) 353 2-2. 불소수지도료 354 2-3. UPE수지도료 354 2-4. 비닐수지도료 355 2-5. 수계도료 356 2-6. 실리콘 수지도료 358 2-7. 아미노 알키드 수지 도료 358 2-8. 아크릴수지도료 358 2-9. 알키드수지 도료 360 2-10. 에폭시수지 도료 360 2-11. 유성도료 361 2-12. 자외선경화도료(UV도료) 362 2-13. 주정 도료 362 2-14. 폴리우레탄수지 도료 363 3. 용도별 도료 종류 및 특징 3-1. 자동차용 도료 364 3-2. 자동차 보수용 도료 366 3-3. 중방식 도료 366 3-4. 건축용 도료 368 3-5. 산업용 도료 369 3-6. 선박용 도료 370 3-7. 분체 도료 371 3-8. 목공용 도료 371 ① 아미노 알키드 도료 372 ② 자외선 경화용 도료 372 ③ 투명락카 도료 372 ④ 폴리에스테르 도료 374 ⑤ 폴리우레탄 도료 374 3-9. PCM 도료 374 3-10. 특수도료 ① Pre-Coat용 도료 374 ② 전자파 차단용 도료 376 ③ 전도성 도료 376 ④ 스트리퍼블 도료 377 ⑤ 내열 도료 377 ⑥ 방화 도료 377 ⑦ 그밖의 특수 도료 378 4. 국내 도료산업의 현황 4-1. 도료산업의 개황 378 4-2. 도료산업의 특징 381 4-3. 도료산업의 기술 환경변화 382 4-4. 도료산업의 현황 384 4-5. 도료산업의 문제점 ① 해외 기술의 의존도가 높음 384 ② 도료 제조업체의 영세성 386 ③ 원재료의 수입 과다 386 ④ 전문 인력 부족 386 4-6. 도료산업의 발전방향 ① 연구개발체제 확립 386 ② 효과적인 기술 도입 386 ③ 공동 연구개발의 촉진 387 ④ 원료의 개발 촉진·자급도 제고 388 ⑤ 생산성 향상 388 ⑥ 규모의 경쟁력 확보 388 ⑦ 해외 협력체계 구축·해외진출 모색 389 5. 도료산업의 시장현황 389 5-1. 자동차 및 보수용 도료 390 5-2. 중방식 도료 393 5-3. 건축용 도료 398 5-4. 산업용 도료 400 5-5. 선박용 도료 402 5-6. 분체 도료 408 5-7. 목공용 도료 413 5-8. 자외선경화 도료(UV도료) 414 5-9. PCM 도료 416 5-10. 불소 도료 418 5-11. 도로표지용 도료 420 5-12. 플라스틱용 도료 422 5-13. 내열 도료 422 5-14. 내화 도료 425 5-15. 수용성 도료 426 6. 도료 특허 현황 428 7. 도료업체별 현황 7-1. 금강고려화학 431 7-2. DPI(구 대한페인트잉크) 433 7-3. 건설화학 435 7-4. 삼화페인트 436 7-5. 대한화인세라믹 440 7-6. 동양특수화학 441 7-7. 애경공업 442 7-8. 영진화학 443 7-9. 에프텍월드 443 7-10. 청진 443 7-11. 우애인터내셔널 443 8. 도료산업의 시장환경 변화 443 9. 세계 도료산업의 현황 및 전망 445 9-1. 세계 도료기업 현황 449 9-2. 미국 도료산업 449 9-3. 유럽 도료산업 451 9-4. 중국 도료산업 453 9-5. 일본 도료산업 459 ① 일본도료 462 ② 대일본잉크화학공업(DIC) 466 ③ 간사이페인트 467 ④ 중국도료 468 ⑤ 중앙도료 469 ⑥ 산유페인트 470 ⑦ 菊水화학공업 470 ⑧ 아사히글라스 471 ⑨ 오오하시화학공업 471 ⑩ 東邦레오 472 ⑪ 大谷도료 473 ⑫ 일본도료마린 473 ⑬ 나가시마특수도료 474 ⑭ 오키츠모 474 ⑮오리진전기 474 ? 일본특수도료 475 ? 藤倉화성 475 ? 무사시도료 475 9-6. 타이 도료산업 476 제6장. 인쇄잉크산업 1. 인쇄잉크의 개요 477 1-1. 인쇄잉크의 분류 (1) 색을 기준하는 경우 478 (2) Varnish(매질)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① 수지에 의한 분류 479 ② 용제에 의한 분류 479 (3) 건조 방법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① 침투 건조 479 ② 산화중합 건조 479 ③ 증발 건조 479 ④ 가열 중합 건조 479 ⑤ 광중합 잉크 479 (4) 용도별 분류 479 (5) 판식에 따른 분류 479 1-2. 인쇄잉크의 특성 480 1-3. 인쇄잉크와 유기용제 현황 480 1-4. 건조 (1) 산화중합 건조방식 480 (2) 침투 건조방식 480 (3) 증발 건조방식 481 (4) 가열중합방식 481 (5) 광중합 건조방식 482 1-5. 콜로이드화학 (1) 콜로이드 입자의 크기 482 (2) 분산 483 (3) 졸과 겔 483 (4) 요변성(Thixotrophy) 483 (5) 유동성(Reology) 484 (6) 계면 화학 484 2. 자외선경화형잉크(UV잉크) 484 3. 옵셋잉크(평판잉크) 3-1. 옵셋잉크의 조성 485 3-2. 옵셋잉크 제조방법 486 3-3. 옵셋잉크 486 3-4. 옵셋윤전잉크 3-5. 잉크타입별 종류 487 (1) Heat set형 잉크 487 (2) Quick set형 잉크 488 (3) Semi-Heat Set잉크 488 4. 그라비아잉크 488 5. 플렉소(Flexo)잉크 489 (1) 플렉소 잉크의 특성 490 (2) 플렉소 잉크의 조성 491 6. 스크린잉크 491 (1) 스크린 잉크의 종류 492 (2) 소재별 스크린 잉크의 종류 493 7. 금속잉크 494 8. 인쇄잉크의 기술동향 8-1. 향균잉크 및 Clear 494 8-2. 도전성잉크 494 8-3. 감감잉크(Desensitising Ink) 495 8-4. 비표용잉크(秘標用) 495 8-5. 적외선 발색잉크(Infrared) 496 8-6. 옵셋 승화성 전사잉크 496 8-7. Ink jet Ink 496 8-8. 시온잉크(示溫) 496 8-9. 축광잉크(蓄光) 497 8-10. 자성잉크(磁性) 497 8-11. UV플렉소잉크 497 9. 인쇄 종류 9-1. 옵셋인쇄 498 9-2. 스크린인쇄 498 9-3. 플렉소인쇄(플렉소그래피) 498 9-4. 비즈니스폼인쇄 499 9-5. 전사인쇄 499 9-6. 튜브인쇄 500 9-7. 플라스틱필름인쇄 500 9-8. 알루미늄박인쇄 500 9-9. 셀로판인쇄 500 9-10. 금속인쇄 501 9-11. 나뭇결인쇄 501 9-12. 라벨인쇄 501 9-13. 앰플(Ampoule)인쇄 502 9-14. 스테레오인쇄 502 9-15. 패드인쇄 502 9-16. 식모인쇄 502 9-17. 돋움인쇄 502 9-18. 융기인쇄 503 9-19. 자기인쇄 503 9-20. 카본인쇄 503 9-21. 바코드인쇄 504 9-22. 날염인쇄 504 9-23. 향료인쇄 504 10. 인쇄산업 및 잉크시장현황 및 전망 10-1. 인쇄산업 504 10-2. 옵셋잉크 507 10-3. 그라비아 잉크 510 10-4. 플렉소 잉크 512 10-5. 금속용 잉크 515 10-6. 스크린 잉크 517 10-7. 대두유 잉크 518 11. 인쇄와 잉크의 발전 방안 11-1. 인쇄잉크와 인쇄의 공동개발 필요성 520 11-2. 인쇄잉크의 개발 방향 521 11-3. 인쇄발전 방향에 따른 잉크의 기여 524 11-4. 인쇄산업의 공동발전에 관한 제안 525 12. 세계 인쇄잉크 시장 525 13. 세계 디지털 날염 잉크생산 동향 526 14. 미국의 인쇄잉크 시장 14-1. 생산 및 수요동향 528 14-2. 수출입동향 529 14-3. 수입관리제도 530 14-4. 업계동향 530 14-5. 마케팅전략 531 15. 일본의 인쇄잉크 시장 532 제7장. 계면활성제산업 1. 계면활성제산업의 개요 1-1. 정의 및 범위 (1) 정의 538 (2) 범위 538 (3) 특징 539 1-2. 계면활성제의 분류 (1) 음이온 계면활성제 541 ① 카르복시염 542 ② 술폰산염 542 ③ Sulphosuccinates 542 ④ Taurates 542 (2) 양이온 계면활성제 ① 4급 암모늄염 543 ② 이미다졸린염 544 (3)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① 아세틸렌 544 ② 알칸올아마이드 544 ③ Poly-saccharides 544 (4) 양쪽성 계면활성제 544 (5) 양성 계면활성제 545 (6) 비이온 계면활성제 545 (7) 특수 계면활성제 ①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545 ② 불소계 계면활성제 546 (8) 기타 계면활성제 546 (9) 결론 546 2. 계면활성제의 용도별 응용 현황 2-1. 섬유산업 547 2-2. 농약산업(비료산업 포함) 547 2-3. Drycleaning산업 548 2-4. 식품산업 548 2-5. 제지·펄프산업 549 2-6. 금속·기계산업 550 2-7. 광업 552 2-8. 화장품산업 552 3. 국내 계면활성제 시장현황 및 전망 554 3-1. 계면활성제 시장현황 556 3-2. 생산업체별 현황 및 기술개발 동향 569 (1) 범우화학 570 (2) 동남합성 571 (3) 한농화성 574 (4) 한국포리올 574 (5) 대동상사 575 (6) 대영화학 576 (7) 선진화학 576 3-3. 계면활성제 시장 전망 577 4. 세계 계면활성제 시장현황·전망 577 4-1. 북미지역 584 4-2. 유럽지역 589 4-3. 아시아·태평양 지역 590 5. 세계 계면활성제 기업현황 598 제8장. 접착제산업 1. 접착제 개요 1-1. 접착제 구성 600 1-2. 접착제 분류 601 1-3. 접착제 용도 602 2. 접착제시장현황 및 전망 603 3. 고기능성 접착제 기술 동향 617 3-1. 기능성 접착제의 적용 확대 618 3-2. 무공해성 접착제의 적용 확대 619 3-3. 혐기성 접착제 619 3-4. 탄성 접착제 621 3-5. 전도성 접착제 622 3-6. 난연성 접착제 624 3-7. 내열성 접착제 624 3-8. 제진 접착제 625 3-9. 순간 접착제 626 3-10.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627 3-11.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 629 3-12. 가시광 경화형 접착제 630 3-13. 반응형 핫멜트 접착제 631 3-14. 구조용 접착제 632 3-15. 유면 접착제 633 4. 세계 접착제 시장현황 및 전망 4-1. 접착제, 전자·기능성 시장 주도 634 4-2. 접착제 업계, M&A 현황 647 4-3. 미국 접착제 시황 658 4-4. 덴마크 접착제 시황 661 4-5. 일본의 접착제 시황 662 4-6. 중국의 접착제 시황 662 5. 세계 접착제 업계 동향 666 제9장. 향료산업 1. 향료란 673 2. 향료산업의 발달 673 3. 향료산업의 특징 675 4. 향료의 역할 676 5. 향료의 분류 676 5-1. 식물성향료 677 5-2. 동물성향료 678 5-3. 합성향료 678 5-4. 조합향료 678 5-5. Flavor의 형태에 의한 분류 679 5-6. Flavor의 타입에 의한 분류 680 5-7. Flavor의 용도에 의한 분류 680 6. 향료 제조법 6-1. 천연향료 제조법 (1)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 680 (2) 압착에 의한 제조(Expression) 681 (3) 흡수에 의한 제조법(Absorption) 681 (4) 용제 추출 제조법(Solvent Extraction) 681 6-2. 합성향료 제조법 (1) 에스테르화반응(Esterification) 681 (2) 축합반응(Condensation) 681 (3) 매일라아드 반응 681 6-3. 조합향료 제조법 (1) 배합공정 681 (2) 숙성 682 6-4. 식물성 향료 제조법 (1) 입착법(Expression) ① Ecuelle법 682 ② 해면법 682 ③ 기계적 압착법 682 (2) 추출법(Extraction) ① 불휘발성 용제 추출법 683 ② 휘발성 용제 추출법 685 ③ 향신료 Oleo resin추출법 686 ④ Extract의 제조법 686 ⑤ 방향 Tincture제의 제조법 687 ⑥ Hydro distillation steam distillation 687 6-5. Flavor의 제조법 688 7. 국내 향료산업 688 7-1. 향료업계 현황 690 7-2. 향료시황 691 7-3. 향료산업의 문제점 697 7-4. 향료산업의 육성 698 8. 향료산업의 발전방향 700 8-1. 조향기술의 확보 701 8-2. 원료의 확보 701 8-3. 관련산업계의 지원 702 9. 세계 향료산업 703 9-1. 향료업계 M&A 706 9-2. 세계 향료업계 동향 708 9-3. 일본의 향료산업 709 9-4. 향료업계의 전자상거래 710 10. 세계 합성향료의 원료 현황 10-1. PEA 711 (1) PEA의 제조현황 712 (2) PEA의 시장현황 713 10-2. Benzyl Alcohol (1) Benzyl Alcohol의 제조현황 713 (2) Benzyl Alcohol의 시장현황 714 제10장. 효소산업 1. 기능성 효소의 개요 1-1. 효소의 특징 715 1-2. 효소 산업의 발전 전망 716 2. 효소의 기능별 분류 716 2-1. 산화환원효소(oxidoreductase) 717 2-2. 전이효소(transferase) 717 2-3. 가수분해효소(hydrolase) 717 2-4. 분해효소(lyase) 718 2-5. 이성질화효소(isomerase) 718 2-6. 연결효소(ligase) 718 3. 산업용 효소의 개발동향 및 산업화 전략 718 3-1. 효소 기술개발의 일반현황 719 3-2. 산업용 효소의 산업화 전략 (1) 식품용 효소 721 (2) 세제용 효소 723 (3) 섬유·펄프 및 피혁산업 723 (4) 화학산업용 효소 724 4. 효소관련 요소 기술별 개발 동향 4-1. 효소관련 요소 기술의 발달사 730 4-2. 요소기술별 기술개발 동향 732 (1) 효소탐색기술 732 (2) 극한미생물 효소탐색(extremozyme) 733 (3) 고온미생물(thermophile) 효소탐색 733 (4) 저온미생물(psychrophile) 효소탐색 733 (5) 알카리미생물(alkalophile) 효소탐색 733 (6) 고생미생물 효소탐색 733 (7) 대량생산 및 제제화 기술 734 (8) 효소의 분리정제 기술 734 (9) 효소 고정화 및 반응기 기술 735 (10) 효소 제조 및 인공효소 736 ① 화학적 수식 736 ② 단백질 공학기술 736 ③ 인공효소 737 5. 기능성 효소의 산업적 응용현황 737 5-1. 식품용 효소 738 5-2. 세제용 효소 739 5-3. 섬유·펄프 및 피혁산업용 효소 741 5-4. 화학산업용 효소 742 5-5. 의료용 효소 (1) 치료용 효소 742 (2) 진단용 효소 745 6. 기능성 효소의 시장동향 746 7. 기능성 효소 업계동향 748 8. 기능성 효소의 최신 기술 개발동향 8-1. 효소 자원의 다양성 확보 기술 751 8-2. 자연계로부터 다양한 효소자원 확보기술 752 8-3. Gene Expression System 754 8-4. 변이주의 screening 754 8-5. 국내외 기술 개발 동향 755 8-6. 산업적 응용 현황 및 시장 동향 755 8-7. 향후 기술 전개 방향 및 전망 755 8-8. 고속 탐색 기술 756 (1) 국내외 기술개발동향 757 (2) 산업적 응용현황 757 (3) 시장동향 758 (4) 향후 기술전개 방향 및 전망 758 8-9. 발현 시스템 기술 (1) 개요 및 중요성 759 (2) 산업적 응용 현황 760 9. 기능성 효소 기술개발의 전망 및 과제 761 9-1. 농업용 효소 763 9-2. 세제산업용 효소 763 9-3. 진단용 효소 763 9-4. 화학산업용 효소 764 9-5. 식품산업용 효소 765 9-6. 시약용 효소 765 9-7. 측정장치용 효소 765 9-8. 의약용 효소 765 9-9. 환경분야 766 9-10. 향후 전망과 과제 766 제11장. 화장품산업 1. 화장품산업의 개요 1-1. 화장품의 정의 770 1-2. 화장품의 역사 (1) 기반구축기(1960년대) 770 (2) 성장기(1970년대) 770 (3) 도약기(1980년대) 771 (4) 국제화 진전기(1990년대) 771 1-3. 화장품산업의 특성 771 (1) 제품생산 측면 772 (2) 제품수요 측면 772 (3) 시장구조 측면 772 2. 화장품 시장현황 773 2-1. 화장품 전략산업 육성 777 2-2. 화장품 시장동향 779 2-3. 기능성 화장품 시장동향 786 2-4. 화장품 시장전망 786 3. 화장품 유형별 시장동향 3-1. 어린이용 화장품 788 3-2. 목욕용 화장품 788 3-3. 눈화장용 화장품 790 3-4. 방향용 화장품 792 3-5. 두발용 화장품 794 3-6. 색조용 화장품 801 3-7. 메이크업용 화장품 803 3-8. 메니큐어용 화장품 805 3-9. 기초화장용 화장품 805 3-10. 일소·일소방지용 화장품 806 4. 화장품 수출입 현황 4-1. 화장품 수출현황 808 4-2. 화장품 수입현황 810 5. 화장품 업계동향 812 6. 해외 화장품 업계동향 819 7. 화장품 원료 시장현황 823 8. 화장품 특허 현황 825 9. 화장품산업의 기술동향 9-1. 화장품 개발현황 826 9-2. 화장품 원료 개발동향 830 10. 화장품 해외진출 현황 831 11. 화장품산업의 연구·개발동향 11-1. 연구·개발 834 11-2. 신소재 개발 834 제12장. 비누·세제산업 1. 세제의 정의 및 분류 835 2. 국내 세제시장의 변천 추이 835 3. 국내 비누·세제 시장현황 836 4. 제품별 국내 시장현황 4-1. 세탁비누 837 4-2. 화장비누 838 4-3. 합성세제 840 4-4. 주방세제 842 4-5. 표백제 845 4-5. 섬유유연제 847 5. 주요 세제원료 현황 5-1. 제올라이트 849 5-2. LAS/AES/AOS/LAB 851 5-3. 세제용 효소 852 5-4. 세제용 향료 854 6. 세계 비누·세제 시장현황 6-1. 세계 비누·세제 업계동향 855 6-2. 세계 세제용 빌더 시장현황 864 6-3. 미국의 세제용 계면활성제 시장현황 866 6-4. 중국의 세제 및 원료 시장현황 867 제13장. 고무첨가제산업 1. 고무첨가제의 개요 870 2. 고무 가황촉진제 2-1. 고무 가황촉진제의 개요 (1) 가황 및 가황촉진제 870 (2) 고무 가황촉진제의 종류 871 (3) 고무 가황촉진제 생산공정 871 2-2. 고무 가황촉진제의 시장현황 871 2-3. 고무 가황촉진제의 개발동향 874 3. 고무 노화방지제 3-1. 고무 노화방지제의 정의 875 3-2. 화학적 성질에 의한 분류 875 (1) Amine계 노화방지제 876 (2) Amine계와 Ketone계와의 반응생성물 876 (3) Phenol계 노화방지제 876 (4) 기타 노화방지제 876 3-3. 산화방지 기능에 의한 분류 876 3-4. 가공성 공정에 의한 분류 (1) 가소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본 경우 876 (2) 가황속도의 영향에서 본 경우 876 3-5. 국내 고무 노화방지제의 시장현황 876 3-6. 고무 노화방지제의 개발동향 878 4. 세계 고무첨가제 시장현황 4-1. 세계 시장현황 879 4-2. 중국 시장현황 883 제14장. 사진감광재료산업 1. 사진의 개요 1-1. 사진화학 발달사 885 1-2. 사진의 용도 886 2. 감광재료의 분류 2-1. 네가용 감광재료 (1) 형태에 의한 분류 887 (2) 일반용 네가 감광재료 887 (3) 보도사진용 네가 감광재료 887 (4) 영화용 감광재료 887 (5) 텔리비젼용 감광재료 888 (6) 포토레이트 감광재료 888 (7) 복사용 감광재료 888 (8) 인쇄제판용 감광재료 889 2-2. 포지용 감광재료 (1) 투명 포지용 감광재료 889 (2) 인화지 889 3. 국내 사진감광재료 현황 3-1. 국내 사진공업 역사 890 3-2. 사진감광재료 시장현황 890 3-3. 사진감광재료 업체별 현황 894 3-4. 사진감광재료 기술개발 동향 898 제15장 촉매산업 1. 촉매의 개요 901 2. 촉매 진화와 유기촉매 2-1. 촉매물질의 진화 904 2-2. 촉매로서의 유기화합물 905 3. 촉매의 분류 3-1. 균일촉매 ① 산·염기촉매 907 ② 금속이온 908 ③ 금속착체 908 ④ 효소 909 3-2. 불균일촉매 ① 고체산·염기촉매 909 ② 금속촉매 909 ③ 금속클러스터 910 ④ 고분자(물질)촉매 911 ⑤ 고정화촉매 911 4. 촉매의 제조법 4-1. 함침법(Impregneation) (1) 흡착법(Adsorption) 913 (2) Pore-filling법 913 (3) Incipient Wetness법 913 (4) 증발건조법(Evaporation to Dryness) 914 (5) Spray법 914 4-2. 침전법(Precipitation) (1) 공심법(Coprecipitation) 914 (2) 심착법(Precipitation) 915 4-3. 혼엽법(Kneading) 915 4-4. 이온교환법(Ion Exchange) 915 5. 촉매공정의 역사 915 6. 촉매공업 기술의 특징 6-1. 소량사용 917 6-2. 공정기술과의 연결 917 6-3. 화학공정의 핵심기술 917 6-4. 종합기술 917 7. 용도별 촉매 적용 919 7-1. 석유정제용 촉매 920 (1) 접촉분해용 촉매 921 (2) 접촉개질용 촉매 922 (3) 수소화분해용 촉매 922 (4) 수소화탈황용 촉매 922 (5) 알킬화 촉매 922 7-2. 중유탈황용 촉매 922 7-3. 석유화학제품 제조용 촉매 924 7-4. 고분자 중합용 촉매 926 7-5. 가스제조용 촉매 926 7-6. 유지가공용 촉매 926 7-7. 의약·식품제조용 촉매 928 7-8. 공해방지용 촉매 (1)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928 (2) 탈질 촉매 929 (3) 산업용 배가스 처리 촉매 930 (4) 폐수처리와 촉매 931 (5) 폐기물처리와 촉매 931 (6) 악취방지와 촉매 931 (7) 무공해 프로세스의 개발과 촉매 931 7-10. 무기화학품 제조용 촉매 931 (1) 황산제조용 촉매 932 (2) 암모니아합성용 촉매 932 (3) 질산제조용 촉매 932 (4) 습식 유황제조용 촉매 932 8. 촉매과학과 기술 932 9. 세계 촉매산업 9-1. 촉매의 연구·기술개발 934 (1) 폴리머시장 938 (2) 환경시장 940 (3) 연료전지 시장 940 9-2. 촉매업계 M&A 현황 940 9-3. 촉매시장현황 945 (1) 정유 및 석유화학 946 (2) 화학 및 폴리머 947 (3) 정밀화학, 의약·농약 947 9-4. 아시아 촉매시장 949 9-5. 일본 촉매산업 952 9-6. 촉매 발전 방향 958 9-7. Johnson Matthey 961 9-8. Synetix 964 9-9. Single-Site 촉매(Albemarle) 966 9-10. Single-Site 촉매(Nova Chemicals) 968 9-11. 메탈로센 촉매 970 9-12. FCC 촉매 972 9-13. MTBE 대체 촉매 974 9-14. 지르코늄 촉매 977 9-15. 제올라이트 촉매 978 9-16. 자동차용 촉매 981 9-17. 화학촉매 982 9-18. 석유정제용 촉매(Refinery Catalyst) 983 9-19. 환경촉매 985 (1) NOx 제거 기술 987 (2) SOx 제거 기술 988 (3) SOx/NOx 동시 제거 기술 989 10. 국내 촉매산업 990 11. 국내외 촉매연구·개발 동향 998 제16장. 고분자응집제산업 1. 고분자 응집제 개요 1-1. 고분자 응집제 개념 및 개발추이 1007 1-2. 고분자 응집제의 분류 및 종류 1008 1-3. 고분자 응집제의 특성 및 작용기구 1008 1-4. 고분자 응집제의 용도 1009 1-5. Emulsion형·Powder형 비교 1011 2. 국내 PAA(Poly acryl amide) 시장현황 1013 3. 무기계 고분자 응집제 3-1. 무기계 알루미늄 응집제 개요 1021 3-2. 국내 무기계 응집제 시장현황 1021 4. 세계 고분자 응집제 시장·기술개발 동향 1025 제17장. 식품첨가물·기능성식품산업 1. 식품첨가물의 개요 1028 2. 식품첨가물의 종류와 역할 1028 2-1. 관능을 만족시키는 첨가물 (1) 조미료 1029 (2) 산미료 1029 (3) 감미료 1029 (4) 착향료 1029 (5) 착색료 1029 (6) 발색제 1029 (7) 표백제 1031 2-2. 식품의 변질, 부패를 방지하는 첨가물 (1) 보존료 1031 (2) 살균료 1031 (3) 산화방지제 1031 2-3. 식품의 품질개량 및 유지용 첨가물 (1) 품질개량제 1031 (2) 밀가루개량제 1031 (3) 호료·안정제 1033 (4) 유화제 1033 (5) 이형제 1033 (6) 피막제 1033 (7) 추출제 1033 (8) 용제 1033 2-4. 식품제조에 필요한 첨가물 (1) 식품제조용 첨가제 1034 (2) 소포제 1034 2-5. 식품영양 강화용 첨가물 1034 2-6. 기타 식품첨가물 (1) 팽창제 1035 (2) 검 기초제 1035 (3) 방충제 1035 3. 국내 식품첨가물 시장현황 3-1. 조미료 1035 3-2. 감미료 (1) 감미료 시장개요 1041 (2) 설탕 1043 (3) 아스파탐 1045 (4) 스테비오사이드 1046 (5) 솔비톨 1048 (6) 올리고당 1049 (7) 에리스리톨 1051 3-3. 색소 1053 4. 세계 식품첨가물 시장현황 4-1. 세계시장 개요 1057 4-2. 착색제 1061 4-3. 비타민E 1062 4-4. Citric Acid 1064 4-5. 미국시장 1066 4-6. M&A 1068 5. 기능성식품 5-1. 기능성 식품의 정의 1070 5-2. 국내 기능성식품 시장현황 1073 5-3. 세계 기능성식품 시장현황 1074 5-4. 기능성식품의 기능별 동향 (1) 편의식품 1076 (2) 어린이용 식품 1076 (3) 항앨러지 식품 1077 (4) 노화억제식품 1077 (5) 장내환경 개선용 식품 1078 (6) 무기질 강화식품 1079 (7) 생체기능 조절물질 이용식품 1079 (8) 성인병 예방용 식품 1081 5-5. 기능성식품 개발동향 1081 5-6. 기능성식품 전망 1083 제18장. 동물약품·사료첨가제산업 1. 동물약품 사료첨가제 개요 1-1. 동물약품 및 사료첨가제의 정의 1086 1-2. 사료첨가용 동물약품의 종류와 작용 (1) 사료의 영양성분 보충 1086 (2) 영양이용률 향상 및 질병예방 1086 (3) 사료의 품질저하 방지 1087 2. 국내 동물약품 시장 발전 추이 2-1. 1950년 이전 1088 2-2. 1950년대 1088 2-3. 1960년대 1088 2-4. 1970년대 1090 2-5. 1980년대 1091 2-6. 1990년대 1092 3. 동물약품·사료첨가제 동향 3-1. 시장현황 및 전망 1094 3-2. 업계동향 1097 4. 주요 제품별 시장현황 4-1. 기능 제제별 시장현황 (1) 항생제 1101 (2) 백신 1103 (3) 대사성약 1103 (4) 의약부외품 1105 4-2. L-Lysine 1106 4-3. 염화콜린 1107 4-4. 메티오닌 1108 4-5. 쓰레오닌 1109 4-6. 콜리락 1110 5. 동물약품·사료첨가제에 대한 정부정책 5-1. 동물약품 품질관리우수업체 의무화 1112 5-2. 국가검정제도의 폐지 1112 5-3. 동물약사관리의 강화 1112 5-4. 중소기업고유업종 해제 여부 1112 5-5. 사료관리법 관련사항 1113 6. 동물약품·사료첨가제 업계의 문제점 1113 7. 동물약품·사료첨가제 업계의 전략·전망 1114 제19장. 제지·펄프용 화학약품산업 1. 국내 제지산업 현황 1-1. 제지시장 및 업계동향 1115 1-2. 제지산업과 용수 및 에너지 현황 1117 2. 제지공정의 발달과 구성 2-1. 전통적 제지 공정 1121 2-2. 근대적 제지 공정의 발달 1121 2-3. 초지기의 구성과 수분 변화 1122 2-4. 펄프산업 1123 3. 초지공정약품 3-1. 로진 및 사이즈제 1125 3-2. 알람(Alum) 1130 3-3. 지력증강제 1131 3-4. Retention Aid(보류향상제) 1133 3-5. 탈수촉진제 1133 4. 가공공정약품 4-1. 라텍스 바인더 1134 4-2. 전분 바인더 1136 4-3. 단백질 바인더 1137 4-4. 분산제 1137 4-5. 윤활제 1138 4-6. 내수화제 1138 4-7. CMC(Carboxymethyl Cellulose) 1138 4-8. 탄산칼슘 1140 4-9. Clay 1143 4-10. 소포제 1144 5. 기타약품 5-1. 탈묵제 1145 5-2. 오염방지제 1146 5-3. Talc 1148 5-4. 표백제 1150 6. 세계 제지약품 시장현황 1153 제20장. 플라스틱 첨가제산업 1. 플라스틱 첨가제의 개요 1-1. 플라스틱 첨가제의 정의 1156 1-2. 플라스틱 첨가제의 특징 1156 1-3. 플라스틱 첨가제의 분류 1157 2. 가소제(Plasticizers) 2-1. 플라스틱 가소제의 개요 1158 2-2. 국내 플라스틱 가소제 시장현황 1162 2-3. 플라스틱 가소제 해외동향 1166 3. 산화방지제(Antioxidants) 3-1. 플라스틱 산화방지제의 개요 1168 3-2. 국내 플라스틱 산화방지제 시장현황 1169 3-3. 플라스틱 산화방지제의 적용 현황 (1) Polymer Degradation 1172 (2) Inhibition of Degradation 1172 ① Amines 1173 ② 2차 산화방지제 1173 ③ Thioester 1174 (3) Polymer Stabilization ① Polyolefin Stabilizers 1174 ② Rubber Modified Resin 1175 ③ PVC 1175 ④ Polyacetal 1175 ⑤ Polyurethane 1175 ⑥ Polyamides 1175 ⑦ Polycarbonate 1176 ⑧ Polyesters 1176 4. 열안정제(Heat Stabilizer) 4-1. 플라스틱 열안정제의 개요 1176 4-2. 국내 플라스틱 열안정제의 시장현황 1178 4-3. 플라스틱 열안정제의 해외동향 1182 5. 자외선안정제(Ultraviolet Stabilizer) 5-1. 플라스틱 자외선안정제의 개요 1187 5-2. 플라스틱 자외선안정제의 시장현황 1189 6. 난연제(Flame Retardants) 6-1. 플라스틱 난연제의 개요 1189 6-2. 브롬계 난연제 (1) 브롬계 난연제의 최근 동향 1190 (2) 브롬계 난연제의 국내 시장현황 1192 6-3. 인계 난연제의 국내 시장현황 1194 6-4. 무기계 난연제의 국내 시장현황 1195 6-5. 세계 난연제 시장동향 1197 6-6. 일본의 난연제 동향 1206 7. 활제(Lubricant) 1209 8. 대전방지제(Antistatic Agents) 8-1. 플라스틱 대전방지제의 개요 1210 8-2. 플라스틱 대전방지제의 시장현황 1211 8-3. 대전방지제 기술동향 1214 (1) 저분자형 대전방지제 1215 (2) 고분자형 대전방지제 1216 (3) 결론 1219 9. 발포제(Foaming or Blowing Agent) 9-1. 플라스틱 발포제의 개요 1219 9-2. 발포제의 종류 (1) Azodicarbonamide(ADCA) 1220 (2) 개질 Azodicarbonamide 1220 (3) OBSH 1220 (4) DPT 1221 (5) TSH 1221 (6) PTSS 1221 9-3. 국내 플라스틱 발포제의 시장현황 1221 10. 충격보강제(Reinfocing Agents) 10-1. 플라스틱 충격보강제의 개요 1225 10-2. 플라스틱 충격보강제의 시장현황 1227 11. 충진제(Filler) 1228 12. 가교제 12-1. 플라스틱 가교제의 개요 1230 12-2. 국내 유기과산화물의 시장현황 1231 13. 착색제(Colorant) 1234 14. 무적제(Antifogging Agent) 14-1. 플라스틱 무적제의 개요 1235 15. 핵제(Nucleating Agent) 15-1. 플라스틱 핵제의 개요 1236 15-2. 국내 플라스틱 핵제의 시장현황 1236 15-3. 세계 clarifying제·핵제 시장동향 1237 16. 블로킹방지제·슬립제 1239 17. 세계 플라스틱첨가제 시장동향 1239 제21장. 금속표면처리제산업 1. 금속표면처리제 개요 1-1. 금속표면처리제 정의 1242 1-2. 금속표면처리제 분류 1243 2. 국내 금속표면처리제 시장현황 2-1. 자동차용 금속표면처리제 1244 2-2. 철강용 금속표면처리제 1246 2-3. 가전용 금속표면처리제 1247 2-4. 제관용 금속표면처리제 1250 3. 금속표면처리제 기술동향 1252 4. 금속표면처리제 수요 전망 1254 제22장. 콘크리트혼화제산업 1. 혼화제 개요 1-1. 혼화재료 개념 1256 1-2. 혼화재료 분류 (1) 혼화제 1258 (2) 혼화재 1258 1-3. 혼화제의 종류 (1) AE제, 감수제, AE감수제 1258 (2) 고성능감수제, 유동화제 1260 (3) 흡수성 폴리머 1260 (4) 초지연제 1260 (5) 수중 콘크리트용 혼화제 1260 (6) 방청제 1260 (7) 수축저감제 1260 (8) 수화열억제제 1261 (9) 팽창제 1261 (10) 방동·내한제 1261 1-4. 혼화재의 종류 (1) 포졸란 1261 (2) 플라이애쉬 1262 (3) 실리카흄 1263 (4) 고로슬래그 1264 2. 혼화제의 종류별 발전 추이 1266 3. 국내 혼화제 생산현황 1269 4. 국내 혼화제 시장현황 1273 5. 국내 혼화재 시장현황 1278 6. 일본의 혼화제 동향 1278 7. 혼화제 기술개발 동향 1280 제23장. 지방산산업 1. 지방산 개요 1-1. 지방산의 개념 1281 1-2. 지방산의 종류 (1) 포화 지방산 1281 (2) 불포화 지방산 1282 (3) 특수한 지방산 1282 2. 주요 유지의 지방산 조성 2-1. 육상동물 유지의 지방산 조성 1283 2-2. 해산동물 유지의 지방산 조성 1284 2-3. 주요 식물 유지의 지방산 조성 1284 3. 국내 지방산 현황 3-1. Stearic Acid 1284 3-2. Oleic Acid 1288 3-3. Lauric Acid/Lauryl Alcohol 1289 3-4. Palmitic Acid 1290 3-5. 지방산 에스테르 1293 3-6. 지방산 모노아마이드 1295 3-7. 글리세린 1295 3-8. 기타 지방산 1297 4. 세계 유지 시장현황 1298 제24장. 희토류산업 1. 희토류 금속의 정의 1300 2. 희토류 금속의 특성 및 응용 2-1. 화학적 성질 1300 2-2. 야금학적 성질 1303 2-3. 광학적 성질 1303 2-4. 자기적 성질 1303 2-5. 원자핵의 성질 1304 3. 희토류 금속의 추출·정제법 3-1. 원료광석 1305 3-2. 광석(정광)의 분해·분해산물의 처리 1306 3-3. 분리희토(정제희토)의 제조 1307 3-4. 새로운 공정기술 개발 1307 4. 희토류산업의 구분 1309 5. 희토류 금속 자원 및 개발 현황 1311 6. 주요 희토류 금속의 국내 시장현황 1313 6-1. 이트륨(Yttrium)·유로피움(Europium) 1315 6-2. 세륨(Cerium) 1317 6-3. 기타 희토류 금속 응용 현황 1318 7. 국가별 세계 시장현황 7-1. 세계 시장 개황 1320 7-2. 중국 1325 7-3. 미국 1329 7-4. 일본 1330 8. 응용 분야별 세계 시장현황 1330 8-1. 자석 1331 8-2. 밧데리 1333 8-3. 전자·형광재료 1334 8-4. 촉매·소재 1334 9. 희토류 금속의 향후 전망 1335 제25장. 파인세라믹산업 1. 파인세라믹스의 개요 1337 2. 파인세라믹스의 분류 2-1. 절연성을 이용한 제품 1341 2-2. 유전성을 이용한 제품 1342 2-3. 압전성을 이용한 제품 1342 2-4. 자성을 이용한 제품 1344 2-5. 반도성을 이용한 제품 (1) 서미스터(Thernistor) 1344 (2) 비선형 반도체 1345 (3) 가스 흡착형 반도체 1345 2-6. 구조재료용 세라믹스 1345 3. 국내 시장현황 3-1. 시장개요 1346 3-2. 전자세라믹스 1349 3-3. 구조세라믹스 1351 3-4. 바이오 세라믹스 1352 4. 국내 기술개발 동향 1352 5. 파인세라믹 원료현황 1354 6. 정부의 지원정책 1358 7. 국내 발전방안 1362 8. 세계 시장현황 8-1. 시장개요 1366 8-2. 선진국 기술개발 동향 1369 8-3. 선진국의 정부지원정책 1369 (1) 미국 1370 (2) 일본 1371 제26장. 실리콘산업 1. 실리콘의 개요 1-1. 실리콘의 정의 1372 1-2. 실리콘의 종류 1372 1-3. 실리콘의 화학구조 1372 1-4. 실리콘 제조법 (1) 모노머 합성법 1373 (2) 실리콘 및 그 배합물의 제조법 1374 1-5. 실리콘의 역사 1374 1-6. 실리콘의 공업화 1375 2. 국내 실리콘 시장현황 2-1. 실리콘 오일 1375 2-2. 실리콘 에멀젼 (1) 실리콘 소포제 1376 (2) 실리콘 유연제 1379 (3) 건축용 발수제 1382 (4) 기타 에멀젼 제품 1383 2-3. 실리콘 고무 1383 2-4. 액상실리콘 고무 1384 2-5. 실리콘 실란트 (1) 건축용 실란트 1386 (2) 전기·전자용 실란트 1388 (3) 자동차용 실란트 1389 2-6. 실리콘 수지 1390 3. 국내 실리콘 업계 동향 1391 3-1. 한국다우코닝 1392 3-2. 한국신에츠실리콘 1394 3-3. 동양실리콘 1396 3-4. 금강고려화학 1399 3-5. 해룡실리콘 1401 4. 세계 실리콘 시장현황 1404 5. 일본의 실리콘 시장현황 1406 6. 중국의 실리콘 시장현황 1408 7. 산업별 세계 실리콘 시장현황 7-1. 전기·전자산업 1409 7-2. 자동차산업 1410 7-3. 토목·건축산업 1410 7-4. 도료산업 1410 7-5. 화장품산업 1410 7-6. 의료산업 1411 7-7. 섬유산업 1411 8. 실리콘의 원료 현황 1411 9. 실리콘 시장 전망 1413 10. 실리콘 기술개발 동향 1414 제27장. 2차전지산업 1. 전지개요 1418 2. 연료전지 개요 1418 3. 2차전지 개요 1426 4. 2차전지산업의 특성 및 중요성 1427 5. 2차전지의 종류 및 특성 1428 5-1. 니켈카드뮴전지 1430 5-2. 니켈수소전지 1430 5-3. 리튬이온전지 1431 5-4. 리튬폴리머전지 1433 6. 2차전지 제조기술 1433 6-1. 리튬이온전지 제조공정 1434 6-2. 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1) 리튬이온전지의 성능 향상 1434 (2) 새로운 용도 개발 1435 (3) 차세대 2차전지의 개발 ① 금속리튬전지 1435 ② 공기아연전지 1436 ③ 연료전지 1436 ④ 리튬설퍼폴리머전지(LSPB) 1436 6-3. 2차전지와 전기자동차 1437 7. 세계 2차전지산업 7-1. 시장동향 1438 7-2. 시장전망 1443 7-3. 리튬이온전지 1445 7-4. 리튬폴리머전지 1446 7-5. 연구개발동향 1446 7-6. 일본 시장 (1) 2차전지 업계동향 1454 (2) 리튬폴리머전지 시황 1459 7-7. 특허동향 1462 8. 국내 2차전지산업 8-1. 시장 동향 1463 8-2. 업계 동향 1471 (1) LG화학 1472 (2) 삼성SDI 1473 (3) 로케트전기 1476 (4) SKC 1477 (5) 새한에너테크 1478 (6) 미래전지 1479 (7) 코캄엔지니어링 1479 (8) 한일베일런스 1481 (9) 바이어블코리아 1482 (10) 파인셀 1484 8-3. 신기술동향 1484 8-4. 소재·장비산업 1487 8-5. 2차전지산업 육성 방안 1489 (1) 2차전지 개발 문제점 1491 (2) 2차전지산업 발전 방안 1492 |
60 | 이온화경향 서열에서 비금속인 수소가 기준이 되는 이유가 뭔가요....[강추] | 조경택 | 2001-08-20 | 3303 |
▶ | "2002년판 한국정밀화학총람이 발간되었습니다." | 씨스켐닷컴(주) | 2001-08-18 | 6725 |
58 | MMA 의 Polymerization에 대해서... | 김주현 | 2001-08-16 | 32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