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시 : 2015년 4월 8일(수)~10일(
금) 장 소 : 대전 컨벤션 센터 |
발표논문의 초록은 온라인 상에서만 접수(초록접수 프로그램 사용방법 참조)하오니, 아래의 사항을 숙지하시어 착오없이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발 표 자 격 : |
발표자 및 공동저자는 필히 본 학회 회원이어야 합니다. 미가입자는 2월 2일(월)까지 학 회에 가입하도록 협조
바랍니다.
|
∙ 발 표 시 간 : |
특별강연-30분(질문시간 포함), 구두-20분(질문시간 포함),
포스터-90분
|
∙ 초록제출마감 : |
2015년 2월 2일(월) 오후
6시(영문 1,000자 또는 국문 500자 이내 작성) (프로그램 준비 관계상 마감 이후에는
접수를 받지
않습니다.)
|
∙ 초록수정기간 : |
2015년 2월
9일(월)까지
|
∙ 일반발표분야
|
1. 고분자합성 |
송창식 |
성균관대학교 songcs@skku.edu, 031-299-4567 |
차상호 |
경기대학교 sanghocha@kgu.ac.kr, 031-249-9783 |
정광운 |
전북대학교 kujeong@chonbuk.ac.kr, 063-270-4633 |
2. 기능성 고분자 |
임성갑 |
KAIST sgim@kaist.ac.kr, 042-350-3936 |
박철호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chpark@kier.re.kr, 064-800-2257 |
박종혁 |
성균관대학교 lutts@skku.edu,031-290-7346 |
3. 고분자가공/복합재료 |
김희숙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heesukkim@kist.re.kr, 02-958-6439 |
이경진 |
충남대학교 lkyungjin@gmail.com, 042-821-7009 |
조성윤 |
한국화학연구원 scho@krict.re.kr, 042-860-7260 |
4. 고분자구조 및 물성 |
강영종 |
한양대학교 youngjkang@hanyang.ac.kr, 02-2220-4556 |
유영재 |
한국화학연구원 yjyoo@krict.re.kr, 042-860-7216 |
김영진 |
충남대학교 kimyj@cnu.ac.kr, 042-821-6670 |
5. 분자전자 부문위원회 Ⅰ(영어발표) |
우한영 |
부산대학교 hywoo@pusan.ac.kr, 055-350-5300 |
권오필 |
아주대학교 opilkwon@ajou.ac.kr, 031-219-2462 |
6. 분자전자 부문위원회 Ⅱ |
우한영 |
부산대학교 hywoo@pusan.ac.kr, 055-350-5300 |
권오필 |
아주대학교 opilkwon@ajou.ac.kr, 031-219-2462 |
7. 의료용 고분자 부문위원회 Ⅰ(영어발표) |
한동근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dkh@kist.re.kr, 02-958-5282 |
이동윤 |
한양대학교 dongyunlee@hanyang.ac.kr, 02-2220-2348 |
8. 의료용 고분자 부문위원회 Ⅱ |
이수홍 |
차의과학대학교 soohong@cha.ac.kr, 031-881-7143 |
박인규 |
전남대학교 pik96@chonnam.ac.kr, 061-379-8481 |
9. 신진연구자 특별 심포지움(영어발표) |
고원건 |
연세대학교 wongun@yonsei.ac.kr, 02-2123-5755 |
김범준 |
한국과학기술원 BumjoonKim@kaist.ac.kr, 042-350-3935 |
10. 대학원생 구두발표(영어발표,
발표15분) |
홍진기 |
중앙대학교 jkhong@cau.ac.kr, 02-820-5561 |
김태환 |
한국원자력연구원 taehwan@kaeri.re.kr, 042-868-4762 |
11. 대학원생 구두발표(발표15분) |
홍진기 |
중앙대학교 jkhong@cau.ac.kr, 02-820-5561 |
김태환 |
한국원자력연구원 taehwan@kaeri.re.kr,
042-868-4762 |
∙
특별발표분야 |
1. Self-Assembled
Materials |
임용범 |
연세대학교 yblim@yonsei.ac.kr, 02-2123-7672 |
김병수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bskim19@gmail.com, 052-217-2923 |
방준하 |
고려대학교 joona@korea.ac.kr, 02-3290-3309 |
2. 자연 모사형 광학소재 합성 및 응용 |
이원목 |
세종대학교 wonmoklee@sejong.ac.kr, 02-3408-3212 |
김도환 |
숭실대학교 dohwan@ssu.ac.kr, 02-820-0995 |
손해정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hjson@kist.re.kr, 02-958-5320 |
3. Korea-Japan Joint Symposium:
Sustainable Plastics and Biopolymers (영어발표) |
신승한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hshin@kitech.re.kr, 041-5898-422 |
유혁상 |
강원대학교 hsyoo@kangwon.ac.kr, 033-250-6563 |
4. 고분자 이론 및 시뮬레이션 |
이원보 |
서강대학교 wblee92@sogang.ac.kr, 02-705-7941 |
김재업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jukim@unist.ac.kr, 052-217-2318 |
류두열 |
연세대학교 dyryu@yonsei.ac.kr,
02-2123-5756 |
※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부터 우수논문발표상의 대상을 구두발표(영문 및 국문) 전체로 확대하기로 하였습니다. 대학원생 구두발표 희망자는 초록제출 마감일(2월2일(월))까지 연구책임자 추천서(연구책임자 1인당 1편으로 제한)를 학회로 제출하여야 합니다(추천서 양식 및 자세한 내용은 학회 홈페이지를 참고). 제한된 편수 때문에 초록의 사전심사를 통해 포스터 발표로임의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대학원생 구두발표를 제외한 분야에서 분야별 구두발표는 연구책임자와 박사급 회원이 발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발표를 희망하시는 분은 2015년 2월 2일(월)까지 반드시 각 세션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책임자의 동의없이 구두발표를 신청한 경우, 포스터 발표로 변경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